산행

2006.06.09.팔공산 (은해사-갓바위)

지리99 수야 2006. 6. 9. 01:45

팔공산 (은해사-갓바위)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2006년6월9일
코스:일주문주차장-백련암-백흥암-중암암-건들바위-능성재-선본재-인봉-갓바위-선본사-
능성재 아래-묘봉암-기기암-은해사-주차장

 

 


은해사
811년 신라 헌덕왕 때에 적인 혜철이 해안평에 창건하여 해안사라고 했다.
그 뒤 고려 시대 보조 지눌이 이 절의 거조암에서 신행결사를 도모한 이래 크게 주목 받았다. 1270년 홍진국사 혜영의 지도 아래 선교 양종의 총본산이 되었다.
1546년 명종 때에 천교가 지금의 자리에 새로 절을 지었다.
그때 법당과 비석을 건립하여 인종의 태실을 봉안하고 은해사라고 했다.
1861년에 큰 불이 나서 천여칸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동화사와 더불어 팔공산의 대표 사찰이다.



은해사입구에 사랑나무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중암암 방향으로 오른다

 

능성재방향





중암암 바위틈사이로 지나면 암자
암자입구 왼쪽산위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야 한다 


                                           중암암입구 에서 올라가는길



삼층석탑. 위로올라가면 건들바위


팔공산 동봉 조망



능선재 가는길에 잠시 배낭을벗고

(회귀 하면서 여기로 다시온다-여기서 기기암 방향이 하산길)

 

 


왼쪽으로 인봉-관봉-갓바위가 한눈에 들어온다

 


능성재 안내 표지판

 


골프장

 


오른쪽으로 서봉-비로봉-동봉이보인다

 

 


인봉에서. (역시 폼은 영아니네 ㅋㅋ)

 

 

 


아무리 잡아봐도 역시 똥폼!!



갓바위부처님

이 불상의 학술상 정식 명칭은 '관봉석조여래좌상'.

이름에서 굳이 약사불인 것을 밝히지 않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간 이 부처님의 명칭에 대해 미륵불, 아미타불 등 이론(異論)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위에서도 말했듯이 왼손에 보면 약합이 있는 것이 뚜렷하다.
또 옛날부터 이 부처님을 찾는 사람들은 모두 약사여래로 생각하고 있었다.

단순히 전하는 말이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근거 없이 전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그리고 어쨌든 손위의 약합이 분명한 이상 앞으로는 약사여래로 부르는 것이 옳을 듯 하다.
현재 갓바위 부처님 앞에는 약 80평 가량 널찍하게 터가 닦였고,

바닥에 돌이 깔리고 주위에는 철제 난간이 둘러쳐져 있다.

또 그와 함께 선본사에서 올라오는 길이 좀 더 넓혀지고 계단과 철제 난간이 많이 보완되었다.

그래서 예전에 비해 한결 기도드리기 편하게 되었다.

리고 바위 위 부처님 바로 앞에는 최근에 화강암으로

만든 단(壇)과 돌거북, 그리고 양쪽에 석등을 놓았다.

 


팔공산의 남쪽 봉우리 관봉(冠峰)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 좌상으로서,전체 높이는 4m에 이른다.

관봉이 곧 우리말로 '갓바위'이므로 흔히 '갓바위부처님'이라고 부른다.

또 머리에 마치 갓같은 판석(板石)이 올려져 있기에 그렇게도 부른다.
관봉은 인봉(印峰).노적봉(露積峰)과 함께 팔공산의 대표적 봉우리로서

해발 850m의 고봉(高峰)이다.

그래서 이 곳에서는 팔공산의 서남쪽이 모두 두루 조망(眺望)된다.
이 부처님은 화강암 한 돌로 만든 것인데,

몸뿐만 아니라 대좌도 역시 한 돌로 되어 있다.
불상의 광배(光背)는 없지만 뒤쪽에 마치 병풍을 친 듯

기다랗게 바위가 둘러져 있어 혹시 이 자연 바위를 광배로 삼았기 때문에

따로 광배를 만들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머리는 소발에 육계가 큼직하고

그 위로 두께 15cm정도의 흡사 갓모양을 한 얇은 바위가 얹혀졌다.

바위 아랫면에는 육계에 맞닿는 곳에 둥근 구멍을 파서 육계에 맞도록 하였으며,
웃면 가운데는 같은 식의 둥근 구명을 도드라지게 하고

그주위에 화판(花瓣)을 조각했다.
그래서 어느정도는 인공적 조각임을 느끼게 한다.

얼굴은 양쪽 볼이 두툼하게 되어 있는 등 비교적 둥글고 풍만한 편이다.

입술은 굳게 다물어 대체로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이목구비가 조화스럽게 잘 표현되어 있다.
이마 한 가운데는 백호(白毫)가 둥글게 솟았고,

오똑한 코 아래의 인중도 두드러지고 있다.
두 귀는 길게 양쪽 어깨에까지 늘어졌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두 어깨는 반듯하고 넓어 당당한 신체와 잘 어울리고 있다.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고 있어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과 비슷한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이 수인은 석굴암(石窟庵) 본존불의 그것과 양식상 흐름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왼손은 결가부좌한 왼쪽 발 부근에서 손바닥을 위로 향해 약합(藥盒)을 올려놓았다.
불상에 표현된 불의(佛衣)는 통견(通肩)인데 두 팔을 거쳐

두 무릎을 덮고 대좌 아래로 흘러내려 있으며,

불의의 옷주름을 표현한 선각(線刻)이 매우 유려하다.

그리고 가슴 앞에는 속옷의 일종인 승가리(僧伽梨) 혹은 군의(裙衣)의 띠매듭이 보인다.

불상의 뒷면에는 옷의 표현이 없고 그냥 평면으로 되어 있다.
대좌는 신체에 비해 작은 편이다.

대좌 윗부분에는 길게 입은 옷의 끝자락이 엎고 있는데

이같은 대좌 형식을 상현좌(裳懸座)라고 한다.

이것은 팔공산 부근에 있는 군위(裙衣) 삼존불 가운데 본존불의 대좌형식과도 유사하다.
이 갓바위 부처님은 절에 전하는 바로는 원광법사(圓光法師)의 수제자인

의현대사(義玄大師)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638년(선덕왕 7)에 조성한 것이라 한다.

그러나 전체적 양식으로 보아 8~9세기 작품으로 보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정설이다.

현재 보물 제 431호로 지정되어 있다.

 

 

기도하는 사람들

 

 

선본사 바로앞으로 난 등산로는 거의 사라지고없다
희미한 등로를 따라 무작정 오르고 올라가니 능성재로이어진길이 나온다
배낭을 벗었든 곳으로 돌아와 기기암쪽으로 내려오는데 이길도 경사가 급하고 미끄럽다

 

여기부터는 포장 도로를 따라 내려간다


은해사에 있는글중에..
나를보고 하신말씀만 같다!